외국 판매를 위하여 르노 형제는 일반 제조업자들의 수출 방침보다 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전략을 추구했다. 방식은 다양했다.

첫째, 르노는 유통 업자를 거치지 않는 판매 방식을 조직하고자 했다.

1901년부터 르노 사는 수마트라 섬(l’ile de Sumatra)을 통해 소형 자동차들을 인도하였다.
둘째, 르노 사는 허가를 받고 자사의 차량들을 외국에서 제조할 수 있도록
교섭했다. 예를 들면, 르노는 1901년 1월 26일, 벨기에 사업가 로파르
(Loppart)와 계약을 체결하여 벨기에에서 직접 차량이 제작되었다. 셋째,
외국에도 대리점 망을 구축했다. 1900년 밀라노와 영국에서는 12% 할인,
이미 뉴욕과 시카고에 주요 대리점 2개가 있는 미국에는 15%의 할인을 조
건으로 하는 계약을 맺었다. 독일을 비롯하여 스위스의 취리히(Zurich), 오
스트리아의 빈(Vienne),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Buenos Aires)에는
독점판매 대리점이 설립되었다.





자회사를 설립하지 않겠다는 초기 방침과는 달리, 1905년 르노는 대리점
과의 계약을 철수하고 런던에 르노형제 유한회사(Renault Freres Ltd.)를
설립하였다. 영국을 시작으로 1906년에 미국지사(Renault Selling Branch)
그리고 1907년, 베를린에 르노 자동차 주식회사(Renault Automobile
A.G.), 1909년 스페인지사(Societe Espagnole des Automobiles Renault),
1913년에는 헝가리, 1914년에는 러시아에 르노 자회사가 설립되었다. 르
노 사는 식민지 국가, 제3국에도 자회사 및 대리점을 설립면서 차량은 49
개국에서 판매될 수 있었다. 르노는 이 수익을 기계 설비와 공장건물에 투
자했고 르노 사의 발전은 설비의 증대와 판매망 구축으로 더 활발해지게되었다.



이처럼 우리는 르노 사의 판매 전략에 있어서 글로벌한 판매망을 구축
하는 것 외에 다른 특이한 점을 찾기는 어렵다. 대중들을 설득하기 보다는
“나는 대중들보다 자동차에 대해서 더 많이 알고 있다. 그러므로 그들은
나의 말을 들어야한다”44)라는 식의 르노의 생산자 중심적 태도는 대중들에
게 반감을 일으킬 공산이 충분했다. 그러나 소비자의 수요와 기호는 빠르
게 변화하고 있었다. 19세기 후반, 명실상부하게 사회의 주역으로서 올라
선 부르주아들은 그들의 경제력과 비례하여 생활의 여유를 누릴 수 있는
사람들이었다. 공식적으로 신분 차별이 폐지되고 모두가 동등한 시민이 되
었으나 부르주아들은 빈곤층과의 구별을 원했다. 그러므로 새로운 지도층
임을 나타낼 수 있는 특별한 어떤 것이 요구되었다. 부르주아들의 눈길을
사로잡을 수 있는 차별적인 홍보방식이 필요했음에도,

르노는 홍보의 중요성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나는말이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싱글 시장  (0) 2017.08.03
아날로그매체  (0) 2017.08.01
가든 코트 동쪽벽 상단  (0) 2017.07.27
프레-콜럼비안(Pre-Columbian) 문명  (0) 2017.07.25
찰스 코우린(Charles Edward Coughlin, 1891-1971)  (0) 2017.07.23

WRITTEN BY
안소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