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험적 신앙을 강조하였다.그녀는 일본에서 오순절 신학을 공부하
고 박성산과 함께 귀국하여 1933년 서빙고에 교회를 개척하였다.이렇게
개척된 오순절 교회는 일제의 탄압으로 흩어지고 1950년 4월 9일 전남
순천에서 제1회 기독교오순절대회가 개최되면서 “기독교대한하나님의 성
회”가 결성된다.25이렇게 시작된 오순절 성령운동은 각종 방언과 귀신축
출,신유,예언,등의 이적들이 나타나면서 급속도로 전국에 확산되기 시
작하였다.261950년대 한국 오순절운동의 대부로 알려진 조용기가 최자실
과 함께 대조동에 천막교회를 개척하면서 귀신축출과 신유를 일으키기
시작하였다.
그의 메시지가 5중 복음과 3중 축복으로 전쟁의 폐허가 남
기고간 상처 입은 사람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자,가난하고 병든 사람
들이 대거 몰려들면서 교회가 급속도로 부흥이 되었다.27 금식기도를 통
한 기도원운동과 구역제도는 한국교회 추수의 절정을 이루는 밑거름이
되었다.오순절 성령의 은사운동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침체되었던 한
국교회를 깨우고,100여년의 짧은 역사를 가진 한국교회를 세계에 알리
는 계기가 되었다.그러나 이용도 등의 신비체험에서 오는 오류 등으로
인하여 오순절 성령운동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는 사람들도 속출하여,
이후 한국의 오순절 성령운동은 은사주의 운동과 함께 연합하면서 이와
같은 부정적인 면들을 시정보완하게 된다.
은사주의 운동(CharismaticMovement)
1900년대 초반에 부흥운동으로 시작된 성령세례의 표적이 방언
이라는 오순절 성령운동의 영향이 비오순절 교단에까지 미쳐,새로운 성
령운동을 기대하는 교회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이들은 자기의 소속
된 교파를 떠나지 않으면서 오순절 성령운동가들에게 나타났던 각종 능
력 행함의 은사들을 사모하여,초대교회의 신앙을 갱신하려고 노력했다.
이들을 가리켜 ‘신 오순절 은사주의 운동(Neo-Pentecostal)’이라고 부르
게 되었으며,점차 ‘은사주의 운동(CharismaticMovement)’이라고 부르
게 되었다.28 이러한 은사주의 운동은 대부분 캘리포니아에 있는 성마가
교회 성공회 사제 데니스 베넷(DenisBennet)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본
다.1966년 미국의 가톨릭에서도 드퀘슨 대학(DuquesneUniversity)교
수인 랄프 키이퍼(Ralph Kiefer)와 빌 스토리(BillStory)에 의해서 대학
가에 은사주의 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29 이들은 학생들과 함께 영
적 은사를 사모하던 중,데이비드 월커슨(David Wilkerson)과 존 쉐릴
(John Sherill)의 저서들을 읽은 후 성공회 사제의 도움으로 성령세례와
방언의 체험을 갖게 되었으며,이러한 성령체험은 드퀘슨 대학에서 노트
르담대학(NoterDame University)으로 옮겨 붙었고,각종 능력 행함의
은사들이 나타나자 가톨릭 안에 은사주의 운동이 급속도로 번지게 되었다
이들은 열광적인 흥분이나 감정에 치우친 열광주의자들과는 달
랐으나 각종 성령의 능력 행함에는 관심이 컸던 것으로 드러나며,교회
를 황폐케 하거나 영적으로 고갈된 성도들의 삶을 성령세례를 통해 회복
하고자하는 의지가 강하였다.이러한 운동은 전 세계로 급속히 확산되어
한국교회에까지 미치게 되었으며 이에 대하여,이신열은 “오순절운동이
복음주의와 전통적 교회들 속으로 파고들면서 은사주의 운동으로 발전해-
나가는데 크게 기여하였다”고 언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