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적 Skin
지금까지의 컴퓨터는 책상위에서 주인과의 단편적인 상호작용에만 이용되었다
더 작아지고 더 빨라진 노트북 컴퓨터는 이동성이 수월하도록 만들어 졌으나 고
정된 사용자 패러다임은 그대로 존속하고 있었다 그래서 컴퓨터는 사용자의 의복
속으로 들어오게 되었고 이것이 Wearable Computing이다
Wearable Computing은 컴퓨터가 쓰여지는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습성이 깨지기
를 바라며, 컴퓨터가 안경이나 옷처럼 사람에게 입혀지고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하
게 된다 수년간 Wearable Computing은 개인 비서와 같은 역할을 비속적으로 하
며 인간 행동의 폭을 증가시켜왔다 또한 사용자를 위해 중요한 데이터를 수집하
며 사용자가 가고 보는 것을 똑같이 가고 본다 이처럼 기계장비는 인간 행동의
패턴을 습득해 인간에 맞춰져 점점 더 개인적으로 적응하게 되는 것이다
3차적 표피는 컴퓨터가 인간이 생활하는 공간속에 들어가는 시스템을 말하는데,
인텔리전트 빌딩 이라든지 스마트 홈 등이 이에 해당한다 생태적 감응체계, 감촉
성으로 표현된다 마샬 맥루한29)에 의해 Skin의 중요성에 대한 논쟁이 표면화 되
면서 전자사회에서 연출력의 핵심은 감각에 의한 느낌이라는 것이 토요이토의 기
본 논평이다
'땅을 접어달리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형적 건축 생성기 (0) | 2017.12.27 |
---|---|
3차원적인 사고의 유리함 (0) | 2017.12.24 |
평양장대현 (0) | 2017.12.17 |
한국교회의 갱신운동 (0) | 2017.12.15 |
문학과 관련된 개념 (0) | 2017.12.06 |
WRITTEN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