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말이야

현대 장신구의 표현 형식의 변화

안소민 2017. 10. 10. 20:34


세 번째 브릿지 주얼리는 파인 주얼리와 커스텀 주얼리의 중간적 다리 역할을 하는 주얼
리를 말한다.92)파인 주얼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하고자 14k금이나 금과 은으로
도금한 금속과 준보석(Semi-preciousStone)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합리적인 가격에 커스텀
주얼리의 디자인을 결합한 장신구로 두 부류의 장신구 사이의 중간자 역할을 하고 있다.그
러나 점차로 커스텀 주얼리의 범주가 넓어지며 브릿지 주얼리와의 분류가 모호해지고 있다.
이 밖에 사전적·학문적으로 정의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장신구의 영역으로
디자이너 주얼리(DesignerJewelry)와 컨버전스 주얼리(ConvergenceJewelry)를 들 수 있는
데,이는 타 영역과 융합하여 발생한 새로운 현대 장신구의 부류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디자이너 주얼리(DesignerJewelry)는 2004년 밀라노 트리엔날레(TriennalediMilano)93)의
‘JewelryandDesign(장신구와 디자인)'전시에서 등장한 용어로 이 전시는 대체로 전체적인
장신구와 관련하여 디자이너 장신구의 특성을 드러내기 위해 준비되었다.
컨버전스 주얼리(ConvergenceJewelry)또한 사용자의 소비 인식의 다원화로 발생한 개념
으로,몸치장을 하는데 쓰이는 도구인 장신구가 본래의 기능인 몸치장 이외의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는 장신구를 의미한다.95)컨버전스 주얼리는 가전기기 브랜드와 주얼리 브랜드의
콜레보레이션에 의해 장신구가 mp3,USB와 같은 디지털 기기로서의 기능을 가진 것과,디
지털 기기가 장신구로서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2010년 이래 지속적
으로 출시되는 필립스(Philips)와 스와로브스키(Swarovski)의 콜레보레이션 USB와 이어폰
(Earphone)은 컨버전스 주얼리의 적합한 예로 볼 수 있다.



이렇듯 이질적인 것과의 융합에 의하여 새로운 영역을 창출하는 현대 장신구는 그 사용
재료와 기법에 있어서도 사회 변화와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융합 방식에 의한 변화와

확장을 거듭하고 있다.



현대 장신구의 표현 형식의 변화
1960년대 이후 장신구 작가를 비롯하여 평론가와 디자이너 예술가들에 의하여 현대 장신
구에 관한 다양한 관점의 담론이 형성되고 있다.영국의 공예 평론가인 피터 도머(Peter
Dormer),랄프 터너(RalphTurner)도 1960년대 이후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96)현대 장신구
를 논하며 첫 번째 절제된 표현적인 작품,두 번째 다소 과장된 표현주의 작품,세 번째이면
서 이중 가장 큰 범주를 차지하고 있는 디자인에 기초한 작품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97)그러나 이들의 분류는 경계가 모호하고 중복되는 경우가 많은 단점이 있다.
이는 다양한 작가와 특성에 기반을 두어 형성되어 온 현대 장신구의 분류 기준의 어려움에
기인하였던 걸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