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로모형을 중심
경로분석결과에 따른 변수간 인과관계와 영향에 대한 논의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인과관계를 단계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경로모형의
분석결과를 검토해 보면,직접효과에 대한 표준화추정치를 기준으로 매개변수와 종
속변수인 내생관찰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인 외생관찰변수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비교
함으로써 이들간의 인과관계와 영향력의 상대적 크기를 알 수 있다.365)가장 크게
영향력을 미치는 인과관계는 교육학습이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며,다음은
기관장의 리더십이 조직문화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다음이 역할의 중요성이 책무성
에 영향을 주는 것이고,그 다음이 사회화가 역할의 중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며,인지도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그 다음은 책무성이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며,조직문화가 책무성에 영향을 미치는 순서로 영향력의 크기가 나타났
다.또한 총효과의 표준화추정치를 기준으로 보면,직접효과의 표준화추정치로 비교
평가할 때와 마찬가지로 교육학습이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고,다음이
기관장의 리더십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이다.그 다음은 인지도가 효과성에 미치
는 영향이며,역할의 중요성이 책무성에 미치는 영향이다.다음이 조직문화가 책무
성에 미치는 영향이고,기관장의 리더십이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문화가 효과
성에 미치는 영향의 순서로 영향력의 크기가 나타난다.
처음에 수정된 경로모형을 중심으로 세워졌던 가설의 검증을 통하여 채택된 가설
을 보면,거버넌스에 대한 교육학습의 정도는 거버넌스에 대한 인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인지도를 매개로 거버넌스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V-5,기관장의 리더십이 조직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조직문화를 매개로 공무원 역할의 중요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V-14,거버넌스에 대한 인지도는 거버넌스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
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V-16,공무원 역할의 중요성은 효과성에 대한 인식에 직접
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V-19,거버넌스에 대한 책무성은 거버넌스의 효과
성에 대한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V-21이다.이러한 검증결과
는 위에서 논의한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의 관계와 크기에 어느 정도
접근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가설의 검증은 통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LISREL의 경우,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경로의 추가와 제거에 있어 이론적 논거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한다고
제시하고 있다.따라서 이러한 가설의 검증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도 이론적 논거를
바탕에 둔 판단과 보충이 있어야 할 것이다.거버넌스에 대한 경험이 거버넌스에 대
한 인지도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낮은 것은 우리사회에서 거버넌스에 대한 개념적
이해가 매우 부족하고,거버넌스에 대한 학습과 체험의 기회가 거의 없는 현실상황
이 반영되어 나타난 응답의 결과이다.또한 접촉과 체험은 직접적인 인지를 형성시
키고 직접적인 체험에 의해 형성된 태도일수록 동태적인 성향을 갖는다.366)일반적
으로 직접적인 경험이 가장 직접적인 인지를 제공하며,직접적인 경험에 바탕을 둔
태도에서 나타나는 행동은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는 경험과 인식에 대한 이론
적 논거가 있다.367) 거버넌스와 파트너십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던 여러 학자들이
민관의 상호 이해와 인식을 개선하고 효과적인 협력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접촉
기회의 확대와 다양화,상호교류의 확대,직간접적인 상호체험제도를 제안하고 있
는 점368)등을 제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