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판매 서비스의 형태
접객의 부수적인 조건으로 고객관리를 들 수 있다. 화장품 판매원에게
고객관리란 기록업무와도 일치 하는데 고객의 히스토리가 끊기지 않게
항상 업데이트를 하고 때에 맞춰 필요한 제품에 대한 알림, 사용제품에
대한 이벤트 알림을 주기적으로 해야 하며, 담당자가 부재일 때 고객이
방문해도 방문 고객에 대한 업무내용은 막힘없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
한 업무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고객에 대한 기록이 매우 중요하다.
화장품 판매원의 접객은 매 순간 고객 1인에 집중 되어 있어야 하며,
고객과 매장에서 생긴 모든 일은 빠짐없이 기록하여 고객성향을 파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록업무는 화장품 판매의 중요한 마케팅 자
료로 활용되기 때문에 화장품 판매원의 중요한 업무이다.
화장품 판매원의 접객은 단순한 제품의 판매에서 끝이 아니다. 고객의
성향을 알고 피부를 파악하고 라이프스타일까지 신경 써서 고객에게 맞
는 제품을 선택해 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접객 서비스, 제품판매서비
스, 피부지식서비스가 겸비된 멀티 서비스가 이루어 져야 하며 일반적인
판매서비스보다 뷰티 어드바이저의 포지션으로 고객에게 서비스가 진행되야 한다.
화장품 판매 서비스의 형태
화장품 판매서비스의 형태는 7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방문판매
화장품 유통에 본격적인 방문판매가 최초로 도입된 것은 1962년으
로 당시 쥬리아 화장품이 방판을 시작해 급성장세를 보이자 태평양을
비롯 한국화장품, 피어리스 등이 방판 조직을 갖추면서부터이다. 그
후1960 년대 중반 이래 방문판매는 급속히 확대되었고 80년대 초반에
는전체 화장품 유통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등 약 20여 년간 황금기를구가했다.
방문판매가 호황을 맞을 수 있었던 경쟁력은 판매자가 면대면으로 직
접 고객과 만나 판매하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과 고객의 구매와 관련된 모든 상황의 파악은 물론 고객의 세
부적인 데이터를 기초로 고객충성도를 강화시켜 재구매로 연결시키기에
용이했기 때문이다.36) 또한 가정 내에 있다는 장점으로 피부마사지 같은
서비스를 강화하면서 그 당시 방문판매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서비스를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