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을 다스리고

아동인물의 사회성 발달과 욕구의 상관관계

안소민 2017. 8. 20. 15:22


본고는 황선미 동화의 아동인물을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의 측면에서 살펴보
고,이때 아동이 발달 단계상 어떤 욕구 단계에 있는가는 마슬로의 욕구위계
이론과 deCharms(1976)에서 유래된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 이론을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아동인물의 사회성 발달과 욕구의 상관관계
아동기의 정서는 분노,공포,질투,불안,애정으로 구분되는데,아동기의 욕
구와 관련이 많은 감정 상태는 애정이다.아동에게 있어서의 애정은 누구에
게 애정을 주는가의 여부보다는 자기를 둘러싸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애정을
받는 경우에 따라 아동의 애정의 정서가 발달되는 것이다.이 욕구가 부모에
의하여 충족되고 있는가의 여부가 아동의 성격발달에 커다란 영향을 주며 사
랑을 받고 수용되는 것이 자기를 승인하고 자기를 수용하는 전제인 것이다.
부모와 자녀간의 애정관계가 원만치 못할 때 어린이들은 문제행동·정서적
불안감·이상행동을 하게 된다.애정은 인간관계의 소산으로서 부모의 사랑·동
기간의 사랑·우정·이성애·자기애,더 나아가서는 교육애·인류애·신에 대한 사
랑·자비와 같은 도덕적·종교적 사랑까지로도 발달해 가는 것이다.




아동기의 발달적 면으로 보아 6∼9세에는 부모와의 애정관계가 중심이 되
며,10∼12세부터는 애정의 중심이 같은 연령 또래의 동성에 대해서 나타난
다.12)또래들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아동들의 자아개념 발달에도 관여하게
된다.일반적으로 또래들에 의해 수용되는 아동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자아개
념을 높여가는 데 반해,또래들로부터 거부되는 아동은 자신의 능력과 태도
등에 대하여 자신감을 상실하게 되어 부정적 자아개념을 발달시킨다.
가족과 친구에 대한 애정 욕구는 황선미 동화의 아동 인물이 겪는 대표적
인 결핍 정서라고 볼 수 있다.내향적인 인물의 경우에는 식욕을 잃고 잠을
못 이루며 불안하게 되고 일기장이나 특별한 곳에 자신의 마음을 기록한다.
반면에 외향적인 인물은 긴장이 과민성·폭발성·문제 행동으로 나타난다.또
내향적인 인물이 정서 불안의 과정을 겪는 동안 외향적인 인물로 변하는

입체적인 인물도 나타난다.



아동의 사회화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와 또래집단이다.이 시기
에는 아동이 취학하게 되어 생활의 중심이 가정에서 학교로 옮겨지게 됨으로
서 부모의 강력한 영향권에서 다소 벗어나 친구들과의 접촉이나 또래들의 인
정에 더 민감해진다.교사는 보상하고,처벌하고,모델로서 작용하며 교사의
기대에 따라 아동의 수행과 동기,자아존중감은 영향을 받는다.
서사를 이해하는 관점 중 하나는 작중인물들의 욕망을 통하여 서사를 이해
하는 방식이다.모든 서사에는 작중인물들의 욕망이 작용하며,흔히 그 욕망
은 타인이나 세상과 심각한 갈등을 일으킨다.욕망은 소설 속에서 인물의 행
위나 사건의 전개와 밀접한 상관성을 맺고 인간의 본질적인 면에 접근한다.
그래서 욕망을 내포하는 형식적인 구조의 분석에서부터 욕망의 상관관계와
실현양상이 작품의 서사구조 안에서 어떻게 전개되는지 조사하는 분석도 활발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