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인물의 유형분류
아동인물의 유형분류
작중인물의 유형
작중인물의 유형에 대한 논의는 주로 특질을 가지고 이루어지는데,특질은
뒤섞여 있게 마련이므로 다소 무리가 따를 수 있다.또 악한,영웅,의적,익
살꾼 등과 같이 관습적·역사적으로 존재하는 종류들까지 대상으로 삼으면 범
위가 너무 넓어진다.이런 점을 염두에 두면서 특징을 중심으로,또 이론적
분류 위주로 작중인물의 유형을 살펴보자.
먼저 심리적 특질 중심의 인물 구분은 인간의 내면에 관한 이론 즉 심리학,
정신분석학 등의 도움을 많이 받게 된다.기질과 지향하는 것에 따라 내향적
인물/외향적 인물,소극적 인물/적극적 인물,이기적 인물/이타적 인물,이성
적 인물/감성적 인물,세속적 인물/초월적 인물,공감적 인물/비공감적 인물등이 있다.
심리적 특질에 따라 작중인물을 분류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입체적 인물과
평면적 인물로 나누는 것이다.최초에 주어진 성격이 이야기의 전개 과정에
서 변하는 인물이 입체적 인물이고,변하지 않는 인물이 평면적 인물이다.평
면적 인물이 '하나의 단일한 관념이나 특성'을 갖는다면,입체적 인물은 보다
복잡하고 미묘한 성격을 갖는다.평면적 인물은 간단하게 그 성격이 규정되
며,독자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다.
한편 사회적 특징 중심의 분류는 사회학의 도움을 받아 작중인물을 분류한
다.사회학에서 중요시하는 것들 즉 가족,계층,직업,권력,재물,인종 등 사
회적 성격을 구성하는 요인들이 중시되게 마련이다.'전형'이란 말이 개인의
내면적 특질보다 사회적 계층 혹은 집단의 특질에 초점을 두자고 보면,개성
적 인물/전형적 인물도 이에 속한다.전형적 인물은 한 시대나 사회의 집단적
성격을 대표한다.반면에 개성적 인물은 이러한 집단적 성격과 변별되는
예외적인 기질을 갖는다.
흔히 긍정적 인물/부정적 인물을 나누는데,이는 독자가 어떻게 보느냐에
따른 구분이 아니다.작품의 지배적 이념 혹은 주제의 맥락에서 볼 때 긍정
되는가 부정되는가,곧 작자가 주제를 표현 할 때 긍정적으로 설정한 인물이
가 그 반대인가에 따른 분류이다.주동인물/반동인물은 이와 거의 같은 뜻의
용어로 볼 수도 있지만,사건 전개를 이끄는가 그에 거스르는가에 초점을 둔
기능적 분류라고도 볼 수 있다.
이야기에서 작중인물의 행동은 사건을 발생시키는 계기가 된다.사건이 전
개되어 감에 따라 작중인물의 행동은 주제를 드러내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인물의 역할을 기능이라고 한다.기능이란 전체 이야기 안에서 그 인
물이 행하는 역할이 특정 형태로 유형화되어 있어서 그 행동의 효과가 단일
할 때 의미 있는 것으로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