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을 다스리고

분리(unbundling)

안소민 2017. 7. 9. 16:57


최근 가치사슬 상의 플레이어들이 독립적인 특성이 완화되며 모든 산
업적 장벽이 무너지고 서로 다른 산업들의 유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단방향의
선형 가치사슬에 기반을 둔 이동통신산업에서의 가치 프레임은 한계를 지니게 되
었다. 앤더슨, 제임스, 윌리암스(Anderson, James & Williams, 2004)는 이동통신산
업 가치사슬상의 각 요소들이 분리(unbundling)되는 추세를 보인다고 하였다. 이는 가치사슬상의 각 요소(Module)의 기술 및 운영절차의 표준화 등으로 인하였다
고 분석하였다. 현재 이동통신산업의 플레이어들이 증가하고 이들 간의 관계가 복
잡해짐에 따라 이동통신 시장을 분석하는 방식으로는 가치 사슬에서 가치 네트워크의 접근법이 많이 이용되곤 한다.
이에 따라 가치사슬(value chain) 차원의 접근방법은 보다 개방된 체계로 이해하
는 접근법인 가치네트워크(value network)로 접근 방향이 옮겨지게 되었고, 특히
최근에는 플레이어 수의 증가와 관계의 복잡성 때문에 이동통신 분야에서는 가치
네트워크(Value Network)와 관련한 수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권민택, 신민수,
2005; 이봉규 외 3명, 2010; 안광준, 신동형 , 2008; 이재영 외 2명, 2005; Sherer,
2005; Peppard & Rylander, 2006; Li & Whalley, 2002; Funk, 2008). 권민택과 신
민수의 연구에서는 가치 네트워크에 대한 정의를 “부가가치 창출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일련의 활동·기능·프로세스의 연계”라고 정의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방형
모바일 플랫폼의 등장에 따른 이동통신 가치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주체들을
분석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권민
택, 신민수, 2005) Peppard와 Rylander(Peppard & Rylander, 2006)는 이동통신산
업의 가치 네트워크 분석 체계를 제시하며 현재의 모바일 공급자들은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하는 콘텐트와 서비스를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밝히며 네트워크 내
콘텐트와 서비스 가치의 중요성을 언급하였으며, 모바일 콘텐츠 관련 부분적 가치네트워크 지도를 제시하였다






또한 Li & Whalley(Li & Whalley, 2002)는 가치사슬에서 가치네트워크로 급변하
는 이동통신산업에서 플레이어들의 위치가 재구성됨을 밝혔다. 이러한 변화를 하
나의 기회로 보고 이동통신산업에서 연관된 플레이어들이 서로 다른 보완적인 기
술을 보유한 기업의 네트워크와 연계해야 한다는 점을 밝히며 다음 단계에서 나
아갈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특히 <그림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바일 포
털은 일련의 사슬로 이해하는 것이 아닌 네트워크의 형식의 복잡하게 얽힌 형태
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치네트워크 내에서 다양한 전략과 비즈니스모델을 도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같이 기존 연구에서는 가치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방법론 소개와 스마트폰
출시 전 이동통신산업의 무선인터넷, 콘텐츠 관련 참여자들 위주로 가치 네트워크
(value network)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스마트폰 출시 후 이동통신사
업자의 위상 하락과 새로운 핵심 참여자들의 출현으로 인한 이동통신산업의 가치
네트워크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스마트폰 혁명이라고 할 수
있는 현 시대에 스마트폰 출시 후 이동통신사업자, 모바일 단말기 제조사, 모바일
OS개발사 등의 변화에 따른 이동통신산업의 가치네트워크 변화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