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말이야

디지털 싱글 시장

안소민 2017. 8. 3. 22:25


특히 이러한 싱글 시장은 신인 뮤지션의 데뷔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정규음반 제작과는 달리 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크
게 덜어줌으로써 대중들의 반응과 평가, 그리고 음악적인 성패에
대해 좀 더 원활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끔 만들어주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2000년대 초반까지는 해도 앨범 시장만이 존재
했을 뿐 싱글 음반시장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런데 2000년대 들어
온-라인 매체가 활성화되고 그로인해 오프-라인 매체가 크게 위축
되었으며 그 시장성마저 심각하게 악화되면서 온-라인 매체를 기반
으로 한 싱글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형성 시점은
국내에서 매체가 다변화하기 시작하고 기존의 소비 형태와는 전혀
다른 방식의 음악적 소비와 구매 패턴, 그리고 그에 부합하는 서비
스 형태들이 개발되고 자리 잡기 시작한 때와 맥을 함께하고 있다.
바꿔 말해 국내 싱글 음반시장은, 좀 더 정확한 표현으로 국내 디
지털 싱글 음원시장은 매체의 다변화가 빚어낸 산물이라고 할 수있겠다.





국내에서 형성된 디지털 싱글 시장은 오프-라인 매체를 기반으로
싱글 음반시장을 구축해온 여타 대중음악 선진국들의 그것과는 근
본적으로 다른 성격을 보여 주고 있다.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싱글 음반의 본래 취지는 뮤지션과 제작사의 부담을 최소한으로 줄
여 다양한 음악을 저렴한 가격으로 대중들에게 제공하며, 또 그 과
정에서 나타나는 반응과 평가를 바탕으로 하여 한층 완성도 높은
정규 음반을 제작함으로서 앨범의 실패 확률을 최소화함에 있었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빠르게 활성화되기 시작한 국내 디지털 싱글
시장은 새로운 매체의 특성이나 편의성을 최대한 이용하여

수익을창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모바일이나 스트리밍 서비스와 같은 온-라인 매체에서는 10여곡 이상 수록되어 있는 정규음
반을 제작하여 판매하는 것보다 한곡이나 두곡 정도로 나누어 제작
된 음원을 개별적으로 분할, 판매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
에 과거 국내에서는 존재하지 않던 싱글 음반시장이 2000년대 이후
갑작스레 활성화된 것이다. 이렇듯 영리 추구를 주목적으로 하는
국내 디지털 싱글 시장은 대중음악 선진국들의 싱글 음반시장과는
그 취지와 목적에 있어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디지털 싱글 시장
이 자원의 낭비를 막는 순기능을 하는 것도 사실이지만, 앨범에서
느낄 수 있는 작가주의 정신의 상실, 제작의 편의성으로 인한 기술
적 아마추어리즘, 부실한 제작사들의 난립 등 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기도 하다. 그로 인해 음악시장의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수준은
크게 하락하고, 결국 세계적 수준에 크게 뒤처지는 대중음악의 변
방국가로 전락해 버리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를 금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