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을 다스리고

매체의 다변화

안소민 2017. 8. 2. 22:24


매체의 다변화는 유통 구조와 그에 따른 이익 배분을 세분화시키
는 결과를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제작 형식에도 적지 않은 변화
를 가져왔는데 최근 들어 크게 활성화되기

시작한 디지털 싱글 시장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싱글 시장은 미국이나 영국,일본 등

대중음악 선진국에서는 LP나 CD 등 오프-라인 음반 매체를
기반으로 하고 있던 과거에도 이미 독립적으로 존재하던 시장이었
으나 국내에서는 음반 산업의 뒤늦은 성장 및 업계의 의지의 부
재로 인해 온전한 하나의 시장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그런데 2000년대 들어 국내에서 온-라인 매체가 급속도로 확산되며 오프-라인
시장을 빠르게 잠식해 나가기 시작하자, 그로 인해 빈약해져 가는
시장성과 대중들의 구매력을 되살리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고안
된 것이 바로 디지털 싱글 시장이다. 디지털 싱글 시장은 온-라인
매체의 특성과 편의성을 잘 활용하여 고안된 시장으로서 현재는 다
수의 온-라인 음원 유통사들을 중심으로 하여 국내 전체 음악시장
의 약 67%를 점유할 만큼 그 규모가 급성장하였다.




미국이나 영국 또는 일본에서 앨범 시장과 함께 공존했던 싱글 시
장은 영리 추구를 위한 시장이었다기보다는 새로운 정규 앨범을 제
작, 발표하기 이전에 뮤지션과 제작사가 시장과 대중들의 반응을
모니터하고 앨범의 성패를 미리 가늠하는데 도움이 되는, 일종의
테스트로서의 기능을 하는 제도였을 뿐만 아니라, 또한 싱글 음반
에서 드러난 단점을 정규 음반에서 보완하여 발표함으로서 한층 완
성도 높은 음악을 대중들에게 선보일 수 있었다. 대중들의 입장에
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여러 뮤지션들의 다양한 음악을 접할 수 있
었기 때문에, 새로운 음악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시장의 관점으로
보아도 매우 효율적인 제도였다고 볼 수 있다.